Load
Load
기술소개
기술과 혁신의 호이스트링 전문 기업
> 기술소개 > 사용공식 및 안전지침
Formula & Precautions
호이스트링 사용공식 및 사용상 안전지침
안전율 및 사용공식
1. 기존의 아이볼트(Eyebolt)보다 5배의 안전율을 확보
현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이볼트(Eyebolt)는 수직(Vertical)으로 들어올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장하중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 예를 들어, 그림에서 보듯이 아이볼트 2개를 들어 올리려는 물체의 양끝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하여 45도의 기울기로 인양작업을 하는 경우, 지정된 사용하중에서 인장능력이 각각 75%정도 감소한다. 즉 수직으로 1톤(Ton)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아이볼트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45도의 경사로 인양할 경우, 각각의 아이볼트는 250킬로그램(Kg) 하중 만을 견딜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호이스트링의 경우, 45도의 경사각을 적용하는 경우, 1톤을 들 수 있는 호이스트링의 인장능력이 각각 최대 30% 정도 만이 감소하게 된다. 이럴 경우, 45도에서 들어올려지는1톤의 하중에 대하여 약 700킬로그램의 인장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는 같은 경사각도인 45도에 대하여 호이스트링이 아이볼트보다 2.8배 이상의 인장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실질적으로 호이스트링에 지정된 사용하중(RATED LOAD)에 대하여 5배의 안전율을 확보하고 있기에 긴급한 상황발생시 45도의 경사에서 견딜 수 있는 사용하중 1톤(TON)용 호이스트링의 최대인장하중은700 Kg의 5배인 3.5톤까지가 된다. 이는 호이스트링이 기존의 아이볼트에 비해 우월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2. 호이스트링을 사용하면 들어올리려는 물체에 가공하는 나사탭의 크기(직경)가 아이볼트 사용시보다 25% 작게 가공할 수 있다.(가공비 절감)
1번 항의 경우처럼 45도 기울기에서 호이스트링의 인장능력이 아이볼트의 2배 에서 3배 사이 정도임이 확인됨에 따라 들어올리려고 하는 물체에 대하여 아이볼트와 호이스트링을 각각 선택할 시 들어올리려는 물체에 가공하여야 하는 나사 탭(Screw tap)의 크기도 달라지게 된다. 여기서 나사탭이라는 것은 호이스트링의 하단 나사부분(수나사)을 들어올리려는 물체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물체에 가공한 암나사(Thread)가공부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들어올리려는 제품의 무게가 약 5톤(5,000 KG)이고 2개의 아이볼트 혹은 2개의 호이스트링을 사용할 경우 45도의 경사각으로 들어올리려고 할 때 나사탭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 지에 대한 계산은 아래와 같다.
L1 = W/ N Sin E
L1 = 각각의 호이스트링에 적용되는 하중
W = 물체 중량
N = 체결되는 호이스트링의 수량
E = 인양각도
L1= 5,000 kg / 2 x Sin 45
= 5,000 Kg / 2 x 0.70711
= 5,000 / 1.414
= 3,536.07 Kg
L1 = 3,536.07 Kg
각각의 호이스트링은 약 3,536.07 Kg의 하중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호이스트링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호이스트링의 나사탭은 약 M24이 된다.
이에 반해서, 아이볼트를 사용해야 한다면,
L2 : 각각의 아이볼트에 적용되는 하중
= (W X 1.75) / N
= (5,000 Kg X 1.75) / 2
= 8,750 Kg / 2
= 4,375 Kg
L2 = 4,375 Kg
해당 중량을 들 수 있는 아이볼트를 확인해보면 나사크기가 M30(나사 직경30 밀리미터)이 되어야만 한다.
즉, 아이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링보다 들어올리려는 물체에 25% (M24→M30) 더 크게 나사탭 가공을 하여야만 한다. 이는 결론적으로 호이스트링을 사용할 시 절삭 및 가공공구의 소형화와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가공비용 절감을 실현 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호이스트링 사용상 안전지침
· 호이스트링에 주어진 사용하중(RATED LOAD)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마십시오. 안전율은 사용상 있을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사용하중을 초과하여 호이스트링 사용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당사가 책임지지 않습니다.
· 고르지 못한 면에 호이스트링을 설치하지 마십시오.
· 호이스트링에 충격하중을 주어서는 안됩니다. 천천히 들어올리시기 바랍니다.
· 호이스트링의 링(RING) 크기보다 큰 후크나 인양장비를 사용하여서는 안됩니다.
· 들어올리려는 물체의 면 (호이스트링을 설치하는 면)과 호이스트링의 접촉 플렌지 부분 사이에 공간이나 빈틈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 호이스트링과 물체 사이에 간격 조정용 판(SPACER)를 설치하지 마십시오.
· 설치된 호이스트링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알맞은 토르크로 조여주시기 바랍니다.
· 호이스트링 설치 후 호이스트링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360도 회전 및 180도 선회하는지 점검하시기 바랍니다.